소액투자

홈플러스 사태 왜 일어났는가?

청로엔 2025. 3. 19. 08:24
728x90
반응형

 

홈플러스 사태는 최근 기업회생절차에 돌입한 

홈플러스와 관련된 여러 문제로 인해 발생한 위기를 말합니다.

 

 

홈플러스는 2025년 3월 4일 서울회생법원에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했습니다.

는 홈플러스가 심각한 재정적 어려움에 직면했음을 나타내며, 

대주주인 MBK파트너스의 경영 방식이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MBK파트너스는 홈플러스를 인수한 이후,

단기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해 알짜 점포를 매각하는 방식으로 경영을 해왔으나,

이는 장기적으로 기업의 경쟁력을 저하시켰습니다.

 

 

 

 

홈플러스의 기업회생절차 신청 이후,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홈플러스 상품권을

저렴하게 처분하려는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고,

 

 

중고거래 플랫폼에서는 홈플러스 상품권이 최대 15% 할인된 가격에 거래되고 있으며,

이는 소비자들이 홈플러스의 미래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고 있기 때문입니다.

 

 

 

더불어, 여러 제휴사들이 홈플러스 상품권 사용을 중단하고 있어, 

소비자 피해가 우려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홈플러스의 경영 악화 원인

 

홈플러스는 2015년 MBK파트너스에 인수된 이후,

 이 사모펀드가 단기적인 투자 회수에 집중하면서

 장기적인 경영 전략을 소홀히 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MBK는 알짜 점포를 매각하고 세일 앤 리스백(Sale and Leaseback) 방식을 통해 운영했지만, 

이는 임대료 부담을 증가시키고 현금 창출력을 저하시켰습니다.

 

 

 

 

사모펀드(Private Equity Fund, PEF) ?

 

 비상장 기업이나 상장 기업의 지분을 매입하여 경영 개선, 재구성, 

또는 매각을 통해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 펀드입니다. 

 

일반적으로 사모펀드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1. 비공식적인 투자 방식

사모펀드는 일반 대중에게 공개되지 않고,

제한된 수의 투자자들로부터 자금을 모집하여 운영됩니다.

이 투자자들은 주로 기관 투자자, 고액 자산가, 연기금 등입니다.

 

2. 장기 투자 전략

 

사모펀드는 보통 5년에서 10년 정도의 장기적인 투자 기간을 설정하고,

이 기간 동안 기업의 가치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전략을 실행합니다.

이 과정에서 기업의 경영진과 협력하여 운영 효율성을 개선하고,

비용 절감 및 수익성 향상을 도모합니다.

 

3. 레버리지 활용

 

사모펀드는 종종 레버리지(차입금)를 활용하여 기업을 인수합니다.

 이를 통해 초기 투자 비용을 줄이고, 더 큰 규모의 기업을 인수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로 인해 기업의 부채가 증가할 수 있으며, 

이는 경영에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MBK는 홈플러스를 인수할 때 약 7조2000억원을 투입했으며, 

이 중 상당 부분이 차입금으로 조달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홈플러스는 매년 막대한 이자 비용을 부담하게 되었고, 

이는 경영에 큰 부담으로 작용했습니다.

 

 

2016년부터 2023년까지의 이자 비용은 약 3조원을 초과하며,

같은 기간의 영업이익보다 훨씬 많은 수치입니다.

 

 

 

유통 시장의 변화에 대한 대응 부족

 

 

 

온라인 쇼핑의 급성장과 대형마트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면서

홈플러스는 경쟁력을 잃어갔습니다.

특히, 코로나19 기간 동안 이커머스 시장이 급성장했음에도 불구하고

홈플러스는 이에 대한 적절한 대응책을 마련하지 못했습니다. 

대형마트의 의무휴업과 영업시간 외 

배송 금지 등의 규제도 매출 감소에 기여했습니다.

 

 

 

홈플러스의 경영 악화는 MBK파트너스의 단기적인 투자 회수 전략,

과도한 차입금과 이자 부담, 유통 시장 변화에 대한 대응 부족,

그리고 내부 관리의 실패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요인들이 맞물리면서 홈플러스는 현재의 위기에 처하게 되었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