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코인 50

금, 달러, 리츠(REITs)가 주식, 코인의 피난처?

고물가, 긴축으로 인한 경기 침체로 시장 변동성이 커지면서 금, 달러나 리츠(REITs) 등이 안전자산의 투자 수단으로 부각되네요. 금 관련 대표적인 상장지수펀드(ETF)로 KINDEX KRX금현물이 있습니다. 금은 증시 불황에 가격이 오르는 전통적인 자산 도피처로 꼽히나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상승해온 금 가격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6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자이언트 스텝’(기준금리 0.75%p 인상)을 단행한 후 조정을 받고 있습니다. 국내 금값의 경우 7만8000원대까지 올랐던 3월과 비교해선 낮아졌고, 6월 중순 이후 7만6000원선에서 거래되고 있습니다. 연준의 통화 정책이 진행중인 상황에서 금, 은, 귀금속에 대한 투자 비중 확대는 자칫 위험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소액투자 2022.06.28

영리치(young rich)의 재테크 모습

하나금융연구소가 조사한 자료 공유 합니다. 우리나라의 영리치의 총자산 규모는 1인 평균 66억원으로 부동산이 60%, 금융자산이 40%를 차지했습니다. 영리치는 1인당 주택 1.7채를 보유, 주거 목적의 주택 제외 시 상업용 부동산을, 올드리치(Old Rich)는 토지 투자를 선호했습니다. 금융자산 보유 비중은 영리치와 올드리치 모두 예금 보유 비율이 가장 많았으며 2순위는 주식이었습니다. 3순위에선 두 그룹간 차이가 있었는데, 영리치는 현금화가 쉬운 MMF,MMDA 등 단기자산에, 올드리치는 보험이나 연금 등 장기자산에 많은 금액을 예치했습니다. 영리치의 자산형성에 긍정적 영향을 준 원천 1순위는 근로소득(45%)이며 다음은 사업소득(23%), 가족으로부터의 상속 및 증여(18%), 재산소득(15%) ..

이슈페이퍼 2022.05.13

수익률 가장 높은 재태크 수단은 무엇일까?

재태크 수단으로 동원되는 분야는 다양합니다. 부동산, 주식, 코인, 채권, 금 등등. ​ ​ ​ 수익률 비교 ​ 대신증권 보고서에 따르면 금 수익률 11.6%, 펀드 10.2%, 부동산 9.6%로 금이 가장 높은 수익률을 보였습니다. ​ 지난해 11.6% 오른 금에 이어 국내 주식형 펀드 10.2%, 부동산 9.6%, 달러 9.4%, 주식 3%, 정기예금 1.3%, 채권 -1.4%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 한국금거래소 기준 국내 금 도매가격은 2020년 12월 31일 1돈당 26만7000원에서 지난해 12월 30일 29만8000원으로 한해동안 11.61% 올랐는데, ​ ​ ​ ​ 지난해 코로나19 확산과 인플레이션 우려로 증시 변동성이 확대되면서 안전자산인 금에 대한 선호가 높아졌기 때문으로 추정하고 ..

소액투자 2022.04.12

어디에 투자해야 할까?(ft. invest insight)

우리나라 인구 5100만 대한민국의 주식거래 활동계좌 수는 6004만개 입니다. 전체 인구 숫자보다 주식계좌가 많다는 사실은 ‘재테크 전성시대’라는 사실을 말해주고 있습니다. 전국민 10명 중 3명이 주식투자를 하고, 47%가 여성입니다. ​ 여성 투자자가 늘었지만 소유주식수는 28%라고 전해 집니다. ​ 상장법인 2426개사의 주식을 소유한 개인 및 법인은 약 8266만명으로 이중 중복 소유자를 제외하면 1384만명으로, 이는 전년 대비 50.6% 증가한 수치입니다. ​ ​ 이러한 현상은 상장법인수도 증가했지만 2030세대 젊은 투자자들이 많이 늘었던 것이 한 원인으로 볼 수 있습니다. ​ 이러한 투자인구가 증가하지만, 막상 계좌를 만들고 재테크에 나서도 투자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려주는 곳은 드문 ..

소액투자 2022.03.20

중국 가상화폐 거래, 15일부터 막힌다… 글로벌 시장 ‘폭풍전야’

중국 거래 중단 우려로 국내 가상 화폐 거래소에 상장된 코인들은 일제히 약세를 보이고 있다. 업비트에 따르면, 상장된 108개 코인 중 최근 1주일간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인 코인은 이오스다. 하지만 이 코인마저 일주일 전 가격보다 0.25% 떨어진 4030원(14일 오후 2시 기준)에 거래 중이다. 이어 리플(-3.82%), 트론(-5.36%), 비트코인(-7.21%), 이캐시(-7.59%) 순이었다. 일각에서는 “비트코인이 한 달 만에 반 토막 났던 지난 5월 상황이 재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한 투자자는 “5월 폭락장 때는 거래량이라도 있었는데 지금은 거래량마저 없으니 감이 안 온다”며 “이러다 갑자기 시즌(코인 급등기)이 종료되는 것 아닌가 걱정된다”고 했다. * 현재 가상화..

이슈페이퍼 2021.12.1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