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연금 49

24년 결혼, 출산, 자녀, 연금 등 세금정책 요약

결혼·출산 세제 혜택 8세 이상 자녀 2명을 둔 거주자는 기존 30만원서 5만원 늘어난 35만원을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둘째 자녀에게 주는 추가 공제액이 15만원에서 20만원으로 상향된 데 따른 것으로, 첫째의 공제액(15만원)과 셋째부터 1명당 공제액(30만원)은 유지됩니다. 2024년 1월부터 결혼하거나 아이를 낳은 성인 자녀가 부모·조부모 등 직계존속에게 1억 원을 세금 없이 증여 받을 수 있습니다. 결혼하는 부부는 혼인신고일을 기준으로 전후 2년 이내, 아이를 낳았다면 자녀가 태어난 날 이후 2년 이내입니다. 부모가 성인 자녀에게 증여할 때 기본으로 10년마다 5,000만 원까지 면제되고, 추가로 혼인·출산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자녀관련 세액공제 기존에는 연간 총 소득이 7,00..

소액투자 2024.01.30

은퇴 후 노후 생활비 준비 3단계

은퇴 후 생활비로 매달 얼마씩 필요할까? 국민연금연구원이 2021년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서울에서 은퇴 생활을 할 경우 한 달에 330만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최근 2~3년간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여파로 매달 330만원으로는 생활이 어렵다. 적어도 노후 생활비로 매월 400만~500만원은 필요하다. 은퇴 시점에 얼마나 필요할까? 은퇴 후 사망까지 기간과 월 생활비를 곱해보자. 정년이 60세이고, 85세에 사망한다고 가정하면 은퇴 생활 기간은 25년이다. 매달 평균 500만원을 쓴다고 하면 1년이면 6000만원이고, 은퇴 시점에 15억원이 필요하다. 여기서 매년 생활비는 불규칙하고, 물가와 투자 수익률도 일정하지 않다. 은퇴 기간도 평균 수명을 가정했지만 각자 다를 수밖에 없다. 은퇴 ..

소액투자 2024.01.22

국민연금 수급액 3.6% 오른다

이달부터 국민연금을 받는 약 649만명의 연금 수령액이 기존보다 3.6% 오른다. 고물가가 이어지는 가운데 지난해 물가상승률이 반영되면서다. 9일 보건복지부는 올해 첫 국민연금심의위원회를 열고 연금액을 인상하고 2024년에 적용하는 기준소득월액 상·하한액을 조정하기로 결정했다고 9일 밝혔다.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공무원연금, 사학연금, 군인연금 등 공적연금은 매년 실질 연금액 하락을 막기 위해 소비자물가 변동률을 반영해서 지급액을 조정한다. 이에 따라 지난해 물가상승률(3.6%)만큼 오른 기본연금액이 이달부터 적용된다. 65세 이상 전체 노인 인구 중 소득 하위 70%(올해 약 701만명)에게 주는 기초연금도 이달부터 3.6% 오른다. 이에 따라 1인 가구 기준 지난해 32만3180원이던 기초연금은 올해..

소액투자 2024.01.11

월세배당 연금처럼 매달 배당하는 ETF

연금처럼 매달 배당금을 받는 ‘월배당 상장지수펀드(ETF)’에 주목하자. 미국 증시에는 이미 월배당 ETF가 활성화돼 있어 서학개미(해외 주식 투자를 하는 국내 투자자)들의 주요 투자 대상으로 떠올랐다. 지난해 서학개미들이 배당금을 많이 받은 종목 2위가 월배당 ETF였다. 22년 6월 21일 상장한 국내 최초 월배당 ETF인 ‘SOL 미국S&P500′이 주당 11원의 첫 월배당금을 지급한 이후, 미래에셋자산운용사의 ‘미국다우존스30′ 등 4종목의 ETF가 8월부터 월배당 ETF로 전환했다. ETF의 경우 배당금을 ‘분배금’이라고 부르지만 배당금과 큰 차이는 없다. 주로 ETF가 투자하는 개별 주식에서 나오는 배당금이 분배금의 재원이 된다. 서학개미가 배당금을 가장 많이 받은 종목은 애플(배당금 2032..

소액투자 2024.01.09

 국민연금 가입 전 3가지 살펴보자

국민연금 의무가입 대상이 아닌데도 본인이 원해서 자발적으로 가입하는 사람들도 늘고 있다. 이들을 임의가입자라고 부른다. 6일 국민연금공단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국민연금 임의가입자 수는 39만6632명에 달했다. 국민연금은 개인연금과 비교하면 매년 물가에 연동해서 연금액이 올라가서 실질적인 가치가 유지되며, 죽을 때까지 평생 받을 수 있다는 게 최고 매력이다. 월 납입액 임의가입자는 보험료 납부 기준이 되는 소득이 없기 때문에 최소 9만원에서부터 최대 47만1600원까지 가입자가 정해서 넣을 수 있다. 국민연금 임의가입을 헛수고로 만들지 않으려면, 얼마씩 넣는 것이 가장 효율적일까. 국민연금 최소 가입 기간인 10년 동안 납입한다고 가정할 경우 월 9만원씩 넣으면, 연금수령 개시 후 매달 18만8910..

소액투자 2024.01.0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