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경매 407

공유지분 경매물건 이것은 알고 접근하자!

지분경매는 하나의 부동산을 2인 이상이 소유하고 있는 물건으로, 한 사람 혹은 여러 사람의 지분에 한해서 경매가 진행 중인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지적도 상 한 필지인 토지에 지분이 세 명에게 있다면, 세 명중 두명의 지분이 경매로 나올 수도 있고 세 명 중의 한 명분의 지분인, 1/3에 해당되는 지분만 경매로 나올 수도 있다. 지분(持分)이란 각 공유자가 공유물에 대해서 가지는 권리를 뜻하기도 하고, 공유자 상호 간에 있어서의 권리의 비율 을 의미하기도 한다. 공유물의 보존행위는 공유자가 각자 할 수 있다. 공유토지에 제3자 명의의 등기가 경료된 경우에, 각 공유자는 보존행위로서 그 등기 전부의 말소청구 소송을 할 수 있다. 공유물의 관리에 관한 사항은 지분의 과반수로 결정한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소액투자 2023.02.10

감정가 6억 수원 아파트에 97명 입찰

경기 수원시 영통구의 한 아파트 경매에 97명이 몰렸다. 작년 전국 최고 입찰 경쟁률을 기록한 부천 중동의 아파트(80명)를 뛰어넘는 수치다. 저가 매입 수요가 몰리면서 수도권 아파트 평균 응찰자가 늘고 있다. 입찰 인기도를 가늠하는 수도권 아파트 평균 응찰자는 작년 4월 10.2명을 나타낸 이후 부동산 시장 매수심리 위축과 함께 하향 곡선을 그렸다. 작년 9월 평균 5.6명으로 떨어진 뒤 작년 하반기 저가 매수세가 붙으면서 조금씩 반등하고 있다. 최저 입찰가가 감정가의 반값까지 떨어진 세칭 ‘반값 아파트’가 속출한 지역에선 입찰 경쟁이 치열할 정도다. 3일 경매가 이뤄진 수원 영통구 망포동 동수원자이 전용면적 85㎡는 응찰자만 97명이었다. 이는 작년 수도권 최고 경쟁률을 기록했던 경기 부천 중동 중흥..

소액투자 2023.02.07

인천 산업단지 공장 경매

지난해 인천지역 국가산업단지 내 휴, 폐업 기업이 최근 5년 새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침체로 경영악화를 이기지 못한 기업이 공장을 경매 매물로 내놓는 경우도 있는데, 대부분 유찰되고 있다. 2021년 5개에 그쳤던 휴업기업이 지난해에는 21개로 4배 이상 늘었는데, 경영이 악화한 기업들이 폐업신고를 할 경우 공장 내 설비와 기계를 처분하는 데 드는 비용 때문에 우선 문만 닫은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은행이나 채권자한테 빌린 돈을 갚지 못해 경매로 나온 공장들도 있다. 법원경매정보 사이트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경매 매물로 올라온 인천지역 공장시설(공장·아파트형 공장·지식산업센터 등)은 총 20건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1곳만 지난달 30일 낙찰돼 주인을 찾았고, 나머지 19곳은 모두 유찰되었다..

소액투자 2023.02.03

반값으로 구입할 기회: 경매 시장

경매 시장이 얼어 붙은 상황에서도 수십명의 경쟁 끝에 낙찰되는 아파트들이 있다. 연이은 유찰로 최저입찰가가 감정가의 반값 수준으로 낮아지자 매수세가 몰린 것이다. 1일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달(30일 기준) 전국에서 입찰이 진행된 아파트는 총 1609개다. 이 중 입찰된 아파트는 589개인데, 이 중 약 4%인 23개 아파트의 응찰자가 30명 이상으로 집계됐다. 응찰자 30명 이상인 아파트는 전국 곳곳에서 나타났다. 가장 많은 사람이 몰린 아파트는 경기 용인시 수지구 현대아파트 전용면적 60㎡다. 감정가 7억5100만원인 이 물건은 지난달 25일 열린 입찰에서 76명이 경쟁한 끝에 5억4829만원에 낙찰됐다. 이 물건은 앞서 열린 두 차례 경매에서 모두 유찰돼 최저입찰가가 감정가의 절반 수준인 3억67..

소액투자 2023.02.01

취득세에서 새로 신설된 '시가 인정액' 알고 있나요?

세법에서 가장 큰 변화는 취득세 부분에서 '시가 인정액'을 도입한다는 것입니다. 시가 인정액은 부동산의 매매사례가액, 감정가액, 경매 가액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시가로 인정되는 가액을 말합니다. 시가 인정액이 없는 경우에는 유사 부동산의 매매가액 등 시가인정액으로 봅니다. 이마저도 없다면 시가 표준액(기준시가, 공시지가)으로 계산합니다. 시가 인정액의 평가 기준일은 매매계약일, 감정가액평가서 작성일, 경매가액이 결정된 날입니다. 원칙은 취득일 전 6개월부터 취득일 후 3개월까지지만, 예외로 취득일 전 2년부터 신고납부기한 만료일로부터 6개월까지를 인정하기도 합니다. 다만 이는 지방세 심의위원회의 심의가 있어야 적용 받을 수 있습니다. 시가 인정액의 판단 기준일부터 취득일까지 자본적지출액이 확..

이슈페이퍼 2023.01.31
728x90
반응형